Skip to main content
NEWS

TREEZE(트리즈), 자율주행 셔틀 ‘ASTREZE Leo P6 Robobus’ 해외 언론에 소개 — 글로벌 기술력 입증

By 2025-10-17No Comments

Uncrewed Systems Technology ,Magazine

80–90% of South Korea’s self-driving vehicles were retrofitted by TREEZE; today, the Astreze Leo P6 Robobus is the foremost of that company’s own AV products (Image courtesy of TREEZE)

[TREEZE] 트리즈, 자율주행 셔틀 ‘Leo P6 Robobus’ 해외 언론에 소개

– 트리즈 한국 자율주행 기술력, 글로벌 시장의 주목을 받다

자율주행 특수목적차량 전문기업 ㈜트리즈(TREEZE)의 대표 모델 ASTREZE Leo P6 Robobus’가 해외 유력 전문 매체「Uncrewed Systems Technology」에 소개되며, 한국 자율주행 기술의 경쟁력을 세계 시장에 알렸다.

이번 보도는 “TREEZE ASTREZE Leo P6 Robobus”라는 제목으로 2025년 10월 영국의 무인·자율 시스템 전문 매체 Uncrewed Systems Technology 공식 웹사이트(uncrewed-systems.com)에 게재되었다.

Five cameras positioned about the vehicle detect blind spots and traffic lights, and also provide forward collision warnings (Image courtesy of TREEZE)


해외 매체가 주목한 ‘Leo P6 Robobus’의 핵심 기술

보도에 따르면, 트리즈를 “한국 자율주행 산업의 핵심 기업이자, 국내 전체 자율주행차의 약 80~90%를 개조한 기술 주도 기업”으로 소개했다. 2013년 설립 이후 100건이 넘는 다양한 프로젝트(자율주행 셔틀, 산업차량, 청소로봇 등)를 수행해 온 트리즈는 하드웨어 엔지니어링에서 소프트웨어까지 기술 역량을 확장하며 자율주행 플랫폼 ‘ASTREZE’를 중심으로 차세대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해외 매체는 트리즈의 6인승 완전 전기 자율주행 셔틀 ‘Leo P6 Robobus’를 “트리즈의 기술 역량이 집약된 대표작(The jewel in the crown)”이라고 평가했다. Leo P6는 중국 PIX Moving의 RoboBus 플랫폼을 기반으로 트리즈가 독자 개발한 자율주행 제어 시스템과 센서 스택을 통합해 완성한 모델이다.

차체 크기는 3,810 × 2,220 × 1,960 mm, 배터리 용량은 31.94 kWh(LiFePO₄), 최대 주행거리는 약 140 km, 최고속도는 30 km/h이며, 20만~30만 달러 수준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 실내는 360도 파노라마 뷰, 저상 구조, 전자동 슬라이딩 도어를 적용해 승객 편의성을 높였고,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과 EU R100 배터리 안전 기준을 충족해 상용 수준의 안전성을 갖췄다.

  • 배터리 용량 : 31.94 kWh

  • 최대 주행거리 : 약 140 km

  • 최고속도 : 30 km/h

  • 충전시간 : 고속 1.5 시간 / 저속 5 시간

해외 언론은 특히 트리즈가 Autoware Universe 기반의 개방형 자율주행 SW를 자체 커스터마이징하고, Ouster 32채널 LiDAR 4대와 5대의 카메라, INS+GNSS 통합항법시스템을 적용하여 정밀한 360° 인지 및 안전성 이중화를 실현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차량 제어는 완전한 Drive-by-Wire (조향·가속·제동 전자제어 통합)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dSPACE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통한 가상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상용 수준의 안정성을 확보했다는 점이 소개되었다.

Lidar is a central data source in both perception and localisation for the Leo P6, and choosing affordable Lidars was vital to keeping the AV’s price low (Image courtesy of TREEZE)


실용성과 확장성 중심의 개발 철학

트리즈는 오픈소스 기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Autoware Universe’를 커스터마이징하여 적용하고 있다. LiDAR와 카메라 융합 인지기술, INS/GNSS 기반 정밀 위치추정, 다층 Drive-by-Wire 제어시스템을 통해 안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구현했다.

현재 트리즈는 PIX Moving의 한국 내 독점 총판으로서 국내 실증을 진행 중이며, 연내 공도 주행 인증 완료 후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자율주행사업본부장 빈존 치라칼(Vinjohn Chirakkal)은 “Leo P6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고품질 자율주행을 구현한 실용적인 모델”이라고 밝혔다.

트리즈는 Leo P6 Robobus를 시작으로

  • 맵리스 자율주행(Autonomy 2.0) 기술,

  • V2X 통신 및 플릿 관리 시스템(FMS) 연동,

  • 다양한 A-SPV 플랫폼 라인업 확장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With localisation data, perception data and key traffic details, the vehicle’s computer can compute the geometries and velocities for its ideal next trajectories (Image courtesy of TREEZE)


㈜트리즈 손성효 대표이사

“이번 해외 매체 보도를 통해 트리즈의 기술력과 비전이 국제 시장에서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dSPACE, INTELLECTUS 등 글로벌 파트너사와 협력하여 한국형 자율주행 기술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The Leo P6’s wheels are driven by two centrally mount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powered from a 32 kWh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y pack (Image courtesy of TREEZE)


트리즈는 이번 보도를 통해 자율주행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으며, 향후 국제 파트너십 확대와 현지 실증 프로젝트를 통해 ASTREZE 브랜드의 글로벌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트리즈는 산업형 자율주행 솔루션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지속가능한 스마트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에 앞장설 것이다.


출처 : Uncrewed Systems Technology
https://www.uncrewed-systems.com/treeze-astreze-leo-p6-robobus
공식 웹사이트 : (uncrewed-systems.com)
This site is registered on wpml.org as a development site. Switch to a production site key to remove this banner.